1월 한파 경보 주의보 뜻과 발령 기준, 올겨울 한파 주의사항!
한파는 겨울철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으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파의 뜻과 경보/주의보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대한민국의 역대 한파 기록과 2025년 1월 한파의 특징, 그리고 한파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파주의보는 아래 3가지 중 하나에 해당될 때입니다.
①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기온이 전날보다 10도 이상 떨어져 3도 이하이고 평년보다 3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추위로 큰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발령됩니다.
① 전날보다 15도 이상 하강하여 3도 이하이고, 평년 보다 3도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5도 이하로 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경우,
③ 광범위한 지역에서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발령됩니다.
대한민국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강력한 한파를 경험했습니다.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981년 1월 5일: 경기도 양평에서 최저 기온 영하 32.6도를 기록했습니다.
● 2001년 1월 16일: 강원도 철원에서 영하 29.2도를 기록하며, 서울은 21세기 들어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 2018년 1월 26일: 강원도 철원에서 영하 25.2도를 기록하며, 최근 5년간 가장 추운 날씨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2025년 1월은 평년보다 다소 온화한 겨울이 예상되지만, 한파가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온 변동성: 1월 중순과 하순에 한파 특보가 내려질 가능성이 있으며,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날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지역별 차이: 서울, 강원도와 같은 내륙 지방에서는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날이 많아질 것으로 보이며, 해안 지역 역시 강풍과 저온으로 인해 체감 온도가 크게 낮아질 전망입니다.
한파 시에는 건강과 안전을 위해 다음 사항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실내 보온 유지: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난방 기구 사용 시 환기에 신경 써야 합니다.
● 외출 시 복장: 외출 시에는 두꺼운 옷과 모자, 장갑 등을 착용하여 체온 유지를 도모해야 합니다.
● 수도 동파 방지: 수도관이 얼지 않도록 보온재를 감싸거나 약하게 물을 틀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 건강 관리: 한파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영양 섭취와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파는 우리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대비하고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겨울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2025년 1월 10일(금) 저녁에 전국적으로 한파 경보와 한파주의보가 발표되었습니다.
● 한파경보 : 경기도(동두천, 연천, 포천, 가평, 양주, 의정부, 파주, 남양주, 여주, 양평), 강원도(태백, 영월, 평창평지, 정선평지, 횡성, 철원, 화천, 홍천평지, 춘천, 양구평지, 인제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강원남부산지), 충청북도(괴산, 제천), 경상북도(의성, 청송, 영양평지, 봉화평지, 경북북동산지)
● 한파주의보 : 경기도(광명, 과천, 안산, 시흥, 부천, 김포, 고양, 수원, 성남, 안양, 구리, 오산, 평택, 군포, 의왕, 하남, 용인, 이천, 안성, 화성, 광주), 강원도(원주), 충청남도(태안 제외), 충청북도(괴산, 제천 제외), 전북자치도(완주,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익산, 남원), 경상북도(구미, 영천, 청도, 고령, 성주, 김천, 상주, 문경, 예천, 안동, 영주), 경상남도(밀양, 의령, 함안, 창녕, 거창, 합천), 서울, 인천(옹진군 제외), 대전, 대구(군위), 세종
한파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모두 안전한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따뜻한 겨울 이불 고르는 꿀팁 소재별 특징 필파워 확인 방법 (0) | 2025.01.13 |
---|---|
2025년 구정 임시공휴일 지정, 연휴 최대 9일! 명절 기차표 예매 (0) | 2025.01.12 |
2달러 지폐 행운을 상징하는 이유! TWO DOLLARS (0) | 2025.01.09 |
소유권 보존 등기란? 신청 서류 절차 말소 안되는 이유 (0) | 2025.01.07 |
정전기 원리 겨울에 잘 일어나는 이유! 도체 부도체 어디서 발생할까?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