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오는 날 운전 차량 점검 주의 사항! 와이퍼 워셔액 꼭 보충하세요!!
겨울철 눈이 내리는 날에는
도로 상황이 평소와 달라져
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특히, 눈길 운전은 초보 운전자뿐 아니라
경험이 많은 운전자에게도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눈 오는 날과 눈이 쌓인 날
차량 점검 및 안전한 운전 방법,
꼭 챙겨야 할 팁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눈이 내리거나 쌓인 날에는
차량의 성능과 상태가
안전 운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출발 전 반드시 아래 사항들을 확인하세요.
<윈터 타이어 장착 여부>
겨울철에는 겨울 전용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윈터 타이어는 일반 타이어보다
접지력이 뛰어나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도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확인>
추운 날씨에는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지기 쉽습니다.
낮아진 공기압은 제동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매주 점검하세요.
<타이어 트레드 깊이 점검>
타이어의 마모 상태도 중요합니다.
트레드 깊이가 3mm 이하로 얕아지면
미끄러질 위험이 커지니 교체를 고려하세요.
겨울철에는 배터리가 방전되기 쉽습니다.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교체하세요.
엔진오일, 브레이크 오일 등
차량의 주요 소모품 상태도 함께 점검하세요.
겨울철 저온용 워셔액을 사용하는지 확인하세요.
일반 워셔액은
추운 날씨에 얼어버릴 수 있습니다.
워셔액이 채워지지 않았을 경우,
주변 차량에 의한 눈튀김 현상으로
앞 시야가 가려질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중에 시야가 가려지고, 워셔액으로
닦아낼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정말 끔찍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워셔액은 꼭 보충하세요!
와이퍼도 중요합니다.
너무 낡아 눈을 제대로 닦아내지 못한다면
시야 확보가 어렵습니다.
와이퍼 상태가 불량하다면 교체하세요.
눈길에서는 평소처럼 운전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아래 사항을 준수하세요.
눈길에서는 차의 제동 거리가
평소보다 2~3배 이상 길어질 수 있습니다.
속도를 줄이고
앞차와의 간격을 넉넉히 유지하세요.
최소 평소 거리의 2배 이상이 안전합니다.
가속, 브레이크, 핸들 조작은
천천히, 부드럽게 해야 합니다.
급출발, 급가속, 급정지, 급회전은
차량이 미끄러질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차량이 미끄러질 경우
브레이크를 세게 밟기보다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
자세를 바로잡으세요.
눈길에서는 저속 주행을 위해
낮은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토 차량의 경우 L(Low)나 2 기어로
설정하면 더 안정적입니다.
<체인>
타이어체인은 눈이 많이 쌓였거나 빙판길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제설도구>
작은 삽이나 스크레이퍼를 준비해
눈을 치울 수 있도록 하세요.
<손전등 및 보조 배터리>
어두운 상황에서 대비하기 위해 필수입니다.
<비상 담요와 여분의 옷>
차량이 고장났을 경우
체온 유지를 위해 필요합니다.
<모래주머니나 염화칼슘>
차량이 미끄러졌을 때
탈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눈길에서는
주차 시에도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경사진 곳에 주차하지 않기>
눈이 얼면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꼭 평지에 주차하세요.
<와이퍼 세우기>
와이퍼가 얼어붙지 않도록
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제동 장치 확인>
주차 시에는 사이드 브레이크뿐만 아니라
기어도 P(Park)에 두어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세요.
만약 사고나 고립 상황이 발생하면
침착하게 대처하세요.
차량이 미끄러져 고립되면 비상등을 켜고,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세요.
차에서 멀리 떨어지지 말고
구조 요청을 보내세요.
가능하면 도로 위에서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세요.
눈을 치울 때는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눈 오는 날과 눈이 쌓인 날에는
평소보다 철저한 준비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차량 점검과 안전 운전 수칙을 꼭 지켜서
가족 모두가 안전하게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하세요.
“안전운전은 가장 큰 배려입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겨울철 운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2.3 비상계엄 상황 꿈인가? 계엄령이 도대체 뭔지 알아? (0) | 2024.12.04 |
---|---|
세면타올 소재 중량 내 취향대로 고르는 방법 꿀팁!! (0) | 2024.12.02 |
프로와 퍼센트 같은 의미? 다른 의미? (0) | 2024.11.30 |
확증편향 뜻 예시 사례 통해 보는 심리학 의미 해결방안 (0) | 2024.11.27 |
유네스코란? 유네스코 지정 항목 자세히 살펴보기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