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혈액형 조합 원리 ABO 혈액형 공식

본문

혈액형 조합원리

엄마 아빠 혈액형이 각각 A형과 B형이면, 자녀는 어떤 혈액형이 나올 수 있을까요? ABO 혈액형 조합원리에 따르면 A, B, AB, O 형 모두 가능합니다. 물론 AO유형과 BO유형이 조합된 경우입니다. 어떤 공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ABO 혈액형 조합 공식을 알아보고, 수혈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혈액형 관계와 RH+-의 차이에 대해서도 추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BO식 혈액형이란?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A, B)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나누는 혈액형 분류법입니다.

 

각 혈액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A형: 적혈구 표면에 A 항원이 있으며, B 항원에 대한 항체(Anti-B 항체)가 존재

B형: 적혈구 표면에 B 항원이 있으며, A 항원에 대한 항체(Anti-A 항체)가 존재

AB형: A 항원과 B 항원을 모두 가지며, 항체는 없음

O형: A, B 항원이 없으며, Anti-A, Anti-B 항체를 모두 가짐

 

항원(antigen)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항체(antibody)

특정 항원을 공격하는 단백질

 

 

 

항원 항체 뜻 반응 원리 실험 검사

항원과 항체 -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 시스템감기에 걸리면 왜 면역이 생길까요? 한 번 감기에 걸리고 나면 같은 바이러스에 쉽게 걸리지 않는 경험, 다들 있으시죠?이는 바로 우리 몸의 면역 시

jackey96.tistory.com

 


2. 부모의 혈액형 vs 자녀

혈액형은 유전에 의해 결정됩니다. 부모의 혈액형 조합에 따라 자녀에게 나타날 수 있는 혈액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형은 AA와 AO로 구분되고 부모가 모두 AO인 경우는 O형을 유전자로 포함하고 있어 O형 자녀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 모두 AB형인 부모에게서는 O형 자녀가 나올 수 없습니다.

✔ 모두 O형인 부모(OO)는 항상 O형 자녀만 낳습니다.

 

 

왜 O형 부모에게 A형 자녀가 나올 수 없을까?

O형은 A, B 항원이 없는 혈액형이므로, 두 O형 부모의 유전자에는 A나 B 항원이 없습니다. 따라서 자녀에게도 A형이나 B형이 나올 수 없습니다.

 

AB형 부모에게 O형 자녀가 나올 수 없는 이유AB형 부모는 A, B 항원 유전자를 각각 가지고 있어 O형(항원이 없는 유전자)이 나올 수 없습니다.


3. Rh+와 Rh-의 차이

Rh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Rh(D) 단백질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Rh+ (양성): Rh 단백질이 있음

Rh- (음성): Rh 단백질이 없음

 

Rh+가 우성 유전자이므로, 부모의 Rh 조합에 따라 자녀의 Rh 혈액형이 결정됩니다. 

 

 

  Rh-인 산모가 Rh+인 아이를 임신하면 항체가 형성되어 다음 임신 때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예방 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4. 수혈 가능한 혈액형 관계

수혈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수혈자의 혈액에 있는 항체가 공여자의 적혈구를 공격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혈 가능 여부는 다음 표를 참고하세요.

 

O형은 모든 혈액형에 줄 수 있어 "만능 공혈자"라고 합니다. 하지만 O형은 O형끼리만 받을 수 있습니다.

AB형은 모든 혈액형에서 받을 수 있어 "만능 수혈자"라고 합니다.

 

Rh+와 Rh-의 수혈 관계

① Rh-는 Rh-만 받을 수 있음

② Rh+는 Rh+ 와 Rh- 둘 다 받을 수 있음

 

즉, Rh-인 사람은

Rh-만 수혈받을 수 있지만,  Rh+인 사람은 Rh+와 Rh-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5. ABO 예외 사례

일반적으로 ABO식 혈액형의 유전 법칙이 적용되지만, 아주 드물게 혈액형이 공식과 맞지 않는 사례도 존재합니다.

 

1. 봄베이 표현형(Bombay Phenotype) : 혈액형이 O형으로 나타나는 특수 사례

일반적인 ABO식 혈액형에서는 H 항원이 A, B 항원으로 변형되면서 혈액형이 결정됩니다. 그러나 봄베이 표현형을 가진 사람은 H 항원을 생성하지 못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어, ABO 항원이 있더라도 혈액형이 O형처럼 나타납니다.

 

 

▣ 봄베이 표현형의 특징

 

① 유전자적으로 A형이나 B형이 될 수 있음에도 검사 결과에서는 O형으로 나옵니다.

②부모가 A형과 B형인데도 (둘 중 한명이 AA or BB 인 경우에도) 자녀가 O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③ 매우 희귀한 혈액형 (인도에서 비교적 많지만, 극소수)입니다.

 

◎ 일반 혈액형 검사로는 구별되지 않으며,  정밀 검사(레시틴 검사 등)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이 경우 O형 혈액도 수혈할 수 없고, 반드시 같은 봄베이 혈액형에서 수혈받아야 합니다.

 

2. 키메라 현상(Chimera)두 개의 유전자를 가진 사람

 

키메라는 한 사람의 몸에  두 개 이상의 다른 유전자 세트가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① 쌍둥이 세포 융합

수정 과정에서 원래는 쌍둥이로 자라야 할 두 개의 배아(수정란)가 융합되면서 두 개의 유전자를 가진 하나의 사람이 됩니다. A형과 B형 유전자가 각각 존재하는 경우, AB형처럼 보이거나 혈액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매우 희귀한 현상이며, 보통 유전자 검사를 해야 확인 가능합니다.

 

② 수혈 또는 골수 이식 후 혈액형 변화

O형인 사람이 AB형의 골수를 이식받으면, 혈액형이 AB형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액세포만 변하고 다른 조직의 유전자는 그대로이므로, 유전자 검사 시 혈액형과 다르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 즉, 키메라 현상을 가진 사람은 혈액형 검사 결과가 유전 법칙과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혈액형 검사 오류 또는 변형

혈액형이 잘못 판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검사 오류: 실험실에서 시약 반응을 잘못 판독할 경우 혈액형이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혈액형 변형: 질병(백혈병 등)이나 특정 약물로 인해 적혈구 항원이 손상되면서 원래 혈액형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녀의 혈액형이 부모의 혈액형 조합과 맞지 않는 혈액형이 나오는 경우, 봄베이 표현형, 키메라 현상, 돌연변이,  검사 오류 등의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이 사례는 매우 희귀하지만, 혈액형에 대한 흥미로운 과학적 사실로 알아두면 유용할 때가 많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