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간지 60갑자 십이지 육십갑자 개념 달력 정확히 이해하기
지난번에 간지(干支)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는 육십갑자(六十甲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육십갑자(六十甲子)'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60년 주기의
시간 체계입니다.
이를 통해 연도, 월, 일, 시간을
표현할 수 있으며,
'하늘의 기운(십간)'과 '땅의 기운(십이지)'가
결합하여 60개의 조합을 형성합니다.
십간은 10개의 요소로 구성된
하늘을 상징하는 기운입니다:
갑(甲) - 큰 나무
을(乙) - 작은 나무
병(丙) - 태양
정(丁) - 촛불
무(戊) - 큰 산
기(己) - 작은 흙
경(庚) - 큰 쇠
신(辛) - 보석
임(壬) - 큰 바다
계(癸) - 시냇물
십이지는 12개의 동물로 구성된
땅을 상징하는 기운입니다:
자(子) - 쥐
축(丑) - 소
인(寅) - 호랑이
묘(卯) - 토끼
진(辰) - 용
사(巳) - 뱀
오(午) - 말
미(未) - 양
신(申) - 원숭이
유(酉) - 닭
술(戌) - 개
해(亥) - 돼지
자세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십이간지(十二干支) 아니라 간지(干支) 정확한 뜻 의미 쉽게 설명
십이간지 (十二干支) '간지(干支)'는동양 철학에서 시간과 관련된 개념으로,특히 십이간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지(干支)는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로 구분되며의미와 역할에 차
jackey96.tistory.com
육십갑자는 십간과 십이지가
차례로 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십간은 10년 주기로 반복되고,
십이지는 12년 주기로 반복되기 때문에,
두 주기를 모두 고려하면
60년에 한 번씩 동일한 간지 조합이
나타납니다.
십간의 10과 십이지의 12가 교차하므로
10 x 12 = 60
가지의 조합이 만들어집니다.
예시로 조합된 10개의 십간과
12개의 십이지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조합이 나옵니다.
첫 해: 갑자(甲子) (갑 + 자)
두 번째 해: 을축(乙丑) (을 + 축)
세 번째 해: 병인(丙寅) (병 + 인)
...
마지막 해: 계해(癸亥) (계 + 해)
이렇게 60년 동안 60개의
다른 조합이 만들어집니다.
60년이 지나면 다시 첫 번째 조합인
갑자(甲子)로 돌아옵니다.
아래는 60년간의 간지 조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육십갑자 달력은 아래의 조합이
반복되는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순서 | 간지 | 순서 | 간지 |
1 | 갑자(甲子) | 31 | 갑오(甲午) |
2 | 을축(乙丑) | 32 | 을미(乙未) |
3 | 병인(丙寅) | 33 | 병신(丙申) |
4 | 정묘(丁卯) | 34 | 정유(丁酉) |
5 | 무진(戊辰) | 35 | 무술(戊戌) |
6 | 기사(己巳) | 36 | 기해(己亥) |
7 | 경오(庚午) | 37 | 경자(庚子) |
8 | 신미(辛未) | 38 | 신축(辛丑) |
9 | 임신(壬申) | 39 | 임인(壬寅) |
10 | 계유(癸酉) | 40 | 계묘(癸卯) |
11 | 갑술(甲戌) | 41 | 갑진(甲辰) |
12 | 을해(乙亥) | 42 | 을사(乙巳) |
13 | 병자(丙子) | 43 | 병오(丙午) |
14 | 정축(丁丑) | 44 | 정미(丁未) |
15 | 무인(戊寅) | 45 | 무신(戊申) |
16 | 기묘(己卯) | 46 | 기유(己酉) |
17 | 경진(庚辰) | 47 | 경술(庚戌) |
18 | 신사(辛巳) | 48 | 신해(辛亥) |
19 | 임오(壬午) | 49 | 임자(壬子) |
20 | 계미(癸未) | 50 | 계축(癸丑) |
21 | 갑신(甲申) | 51 | 갑인(甲寅) |
22 | 을유(乙酉) | 52 | 을묘(乙卯) |
23 | 병술(丙戌) | 53 | 병진(丙辰) |
24 | 정해(丁亥) | 54 | 정사(丁巳) |
25 | 무자(戊子) | 55 | 무오(戊午) |
26 | 기축(己丑) | 56 | 기미(己未) |
27 | 경인(庚寅) | 57 | 경신(庚申) |
28 | 신묘(辛卯) | 58 | 신유(辛酉) |
29 | 임진(壬辰) | 59 | 임술(壬戌) |
30 | 계사(癸巳) | 60 | 계해(癸亥) |
이렇게 60개의 간지 조합이
하나의 주기를 이루고,
이 주기는 60년마다 반복됩니다.
육십갑자는 시간의 흐름을 표시할 때
주로 사용되며,
한 사람이 태어나서 60년이 지나면
자신이 태어난 해와
같은 간지로 돌아온다고 해서
이를 '환갑(還甲)'이라고 부릅니다.
이 달력은 연도, 월, 일, 시간
모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날 쉬는 날 맞아요? 언제부터 휴일? 노래도? (0) | 2024.10.08 |
---|---|
아파트 층간 소음 기준, 해결 방법 A to Z (0) | 2024.10.05 |
빠른 년생 년도 기준 음력 나이 7살 입학 못해요? (0) | 2024.10.02 |
검사가 징역 구형하면, 바로 구속 되는 건가요? (0) | 2024.09.30 |
2024년 10월 가을 18호 태풍 끄라톤 한반도로 향하는 경로 (0) | 2024.09.29 |